컨텐츠 정보
- 366 조회
- 목록
본문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상반기 전체 관객 수는 4,250만 명으로 전년 동기 6,293만 명 대비 2,043만 명 줄어 32.5% 감소했다. 매출액 또한 지난해 6,103억 원보다 33.2% 감소한 4,079억 원에 그쳤다. 저조한 성적 속에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연간 총 관객 1억 명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심화됐다. 그런 가운데 3분기(7~9월) 극장가에 흥행 신호탄을 알리는 영화들이 잇따라 개봉하며 긍정의 신호를 전했다. 그럼에도 아쉬운 점은 장기 흥행 열풍을 이어간 극장가 선두 주자가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점이었다.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 연상호 감독의 '얼굴' 등이 웰메이드 작품으로 박스오피스에서 힘을 발휘하는 듯했으나,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체인소 맨: 레제편' 등이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장기 흥행'이라는 승기를 잡았다. 기대작들의 개봉과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 정부의 영화관 할인 쿠폰 정책을 통해 영화관에 관객이 대거 유입되며 지난달 관객 수는 총 983만 명으로 전년 동월 630만 명 대비 56% 급증하는 호재가 됐다. 4분기에는 할리우드 대작들이 연이어 개봉을 앞두고 있어 관객 1억 명 달성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해외 대작의 잇따른 개봉이 극장 매출 부흥에는 큰 힘이 되는 것과 별개로 한국 영화계에는 또 다른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개봉을 앞둔 영화는 오는 19일 '위키드: 포 굿', 26일 '주토피아 2', 12월 17일 전세계 최초 공개를 앞둔 '아바타: 불과 재' 등 오랜 기간 사랑 받아온 프랜차이즈 대작들이다. '쌍천만' 돌파 신화를 쓴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 시리즈부터 약 9년 만에 돌아오는 디즈니의 '주토피아', 지난해 224만 명의 관객을 돌파하고 호평을 받은 '위키드'의 속편까지 피 터지는 할리우드 대작들의 흥행 시동 속에 한국 대작 영화들의 개봉은 말 그대로 '실종' 됐다. 이중 '나혼자 프린스'를 제외한 3편은 다음 달 개봉하며, '콘크리트 마켓'은 롯데시네마에서 단독 개봉한다. 시기적으로 할리우드 대작들을 피하려는 노력에, 규모가 큰 작품도 없어 4분기 한국 영화의 파이 싸움은 작고도 치열할 전망이다. 영화 '넌센스', '한란', '멀고도 가까운' 등 소규모 영화들이 개봉 소식을 전하고 있긴 하지만 할리우드 대작에 맞설 규모의 영화는 개봉이 예정돼 있지 않아 박스오피스에서는 연이어 개봉하는 프랜차이즈 대작들의 바통 터치가 이어질 것이라는 걱정도 커지고 있다. 더 큰 우려는 일명 '창고 영화'의 가뭄이다. 최근 한국 영화 제작 편수가 줄며 개봉 예정작들 역시 크게 줄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개봉을 미뤘던 중급 규모 이상의 영화들 역시 대부분 개봉을 완료했다. 다행히도 관객은 늘었지만 한국 영화의 흥행 성적은 좋지 않다. 하지만 최근 윤가은 감독의 '세계의 주인', 양종현 감독의 '사람과 고기', 박준호 감독의 '3670' …
-
등록일 07:41
-
등록일 07:41
관련자료
-
링크









